fragments book on table Custom 1

Fragments of a New Housing Language

2016 [Publication, symposium, and exhibition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Curator: Moongyu Choi
Book Author: John Hong

The historical legacy of housing in Korea paradoxically is both heroic and mundane: Until recently, the nation’s rapid urbanization fueled the creation of entirely new regions of high density apartments while cycles of urban renewal within the city continue to push the radical disjunction between new and historical fabrics. At the same time, the ongoing impasse between developmental pressures and design progress has reduced housing to its basic elements. However, if we use language as a working metaphor, a current wave of architects has quietly begun reassembling these fragments into new syntaxes, instilling them with nuanced social qualities while still maintaining their efficiency. While each work in this book and exhibition represents a unique solution, their innovations can be seen as typological advances in the way the core elements of housing are willfully redesigned, recombined, and re-imbued with new qualities.

Introduction lecture by John Hong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The Anxiety of Reassembling Fragments
John Hong |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Housing (rather than house), is by necessity serial, especially when applied to our urban environments – it is impossible to gauge the success of the dwelling unit without measuring the success of its aggregation. In this way one could call housing a kind of language – the single word interchangeable as both noun and verb. As a noun it is ‘uttered’ daily as a kind of common tongue, a framework and place for our everyday rituals. At the same time, as a verb it is capable of edifying and transforming the very fabric of our existence. It is from this premise that the collection of works in this exhibition and book begins: As curator, professor and architect Choi Moongyu implies in his preface: housing does not need to be related to the noun spectacle “in a city already full of spectacles,” but rather the verb change in the way the projects in this volume express the “consequent changes brought to everyday life.”


Roundtable discussion at NUS. (left to right) Eunkyung Lee, Younghan Chung, Siew Man Kok, John Hong, Jinoh Lee

 

With all the celebration of ‘starchitects,’ and special purpose buildings that get published and awarded, more than 77% of buildings in Seoul are housing, the stuff of the everyday. As elaborated in the introductory essay by Professor Park Cheolsoo, the almost sublime repetition of units contained in superblocks known generically in Korea as the ‘APT’ type was catapulted by political and social forces that were in the end driven by sheer need: In the decades of recovery following the Korean War, the chemistry between Machiavellian policies, foreign investment, and an elusive-to-define but incredibly powerful collective will converged into an unprecedented building boom. For instance, over 13 million housing units were constructed nationwide and the city of Seoul alone increased from 1.5 million inhabitants to over 10 million.

photo: Seungho Choi

 

Beyond the scores of astounding statistics we use to describe the parallel between economic ascendancy and accelerated density, the story of housing within the once so-called ‘Hermit Kingdom’ is more nuanced and complex than a generalized narration of how ‘local’ low-rise became ‘international’ high-rise urbanism. On one hand historians agree that the nation’s recent past is one of radical societal change in the way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Koreans, once isolated by the geopolitics of its topography and its peninsular condition, was forced open. First it was through literal colonization by the Japanese in 1910, then through a cultural colonization brought on by the proxy Cold War between the superpowers of the United States and Soviet Union staged on Korean soil (1950-53). After these tumultuous periods, the flood-gates to the exterior were fully opened, and as much as Korean culture had enjoyed its cultural autonomy, a delirious gaze toward the modernity of the West was now foregrounded. On the surface one can discern this abrupt juxtaposition in the way traditional urban fabric was replaced by a postcolonial one – in over-simplified terms, it is registered in the destruction of wood and stone hanok and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and steel apartment complexes.

photo: Seungho Choi

 

But in rebuilding historical narratives to invent new futures, perhaps it is no longer productive to think of Korea’s urbanscape through these binary definitions. In the background, a parallel and more organic history has been evolving, hidden from the panopticonism of tabula rasa urbanism and therefore more nimble in its ability to change. Michel de Certeau states, “Escaping the totalizations produced by the eye, the everyday has a certain strangeness… Beneath the discourses that ideologize the city, the ruses and combinations of powers that have no readable identity proliferate; without points where one can take hold of them, without rational transparency, they are impossible to administer.”

Whereas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apartment complexes has always been pre-conceived by centralized authorities, smaller scale housing in Korea has evolved through improvisation and need, with legal restrictions only happening after the fact. Beginning in the 1930’s with the move to rapidly industrialize and urbanize the nation, the owners of single family houses began to illegally rent out single rooms to factory workers in need of housing. Interestingly, it was the traditional hanok type with its integrated central courtyard that allowed it to be subdivided, rescaled, and shared in new ways. As the plumbing did not allow for multiple bathrooms and kitchens however, new types of ‘family’ structures between unrelated individuals was also created –  social situations that we think are so radical today were already beginning to emerge 80 years ago as traditional typologies were transformed to meet the then contemporary needs.

 

 

Before the advent of the high-rise apartment complex, we also tend to forget how the intermediate scale of the 2 story brick house proliferated in the 1960’s as the new form of density. In lieu of 1-story hanok, it was implemented to respond to dwindling wood supplies and rising fire-safety concerns. Initially constructed as single-family structures with Western facades and Korean interiors, the continuing scarcity of housing as more of the population flooded into the urban centers inspired more under-the-table invention: Where the hanok type was transformed in plan, this time it was the section that played the new role. While the owner would live on the 2nd floor, they would often remove the interior stair and improvise odd exterior circulation to allow their own separate entry while providing private access for their illegal tenants on the 1st and basement floors. Even today when walking through the back streets of Seoul, one can still spot the complex ‘beautifully ugly’ interventions which are in their own ways attempts to negotiate density, open space, and multi-unit coexistence. These are solutions that no architect could ever dream up under the auspices of proper ‘design’ but nonetheless we can learn from them because their spatial evolution is parallel to the evolution of a specifically Korean urban culture.

As the city continued to be faced with housing shortages, the government again followed rather than led the logic of individual residence owners, legalizing multi-family dwellings on previously single-family lots. This institutionalization of the type however introduced throngs of small-scale developers to the market who merely sought to take advantage of the conditions of the new laws and generate as much profit as possible. Even so, a kind of Darwinian logic prevailed creating the most efficient minimum typologies that could create maximum financial gain in the form of multifamily structures classified as ‘dasaedae’ or ‘dagagu,’ But as everyone knows, land values in unchecked capitalism always chase profit margins in a kind of absurd dog-eat-dog scenario. The result was an incredible streamlining of the basic elements of housing, emptying the unit, corridor, facade, open space, roof, and stair of any social content and reintroducing them in their most reductive state. It was as if the syntax of housing, its very words, were separated into single-syllable monotones without the hope of ever being joined into coherent sentences.

But architects are a certain breed of perverse thinkers – drawn to the impossibility of utopia, they seek to generate social change where none is seemingly possible. While the top-down power structure of large scale apartment development continues, the architects in this book have instead engaged change from the bottom-up (or more precisely from the side-up). Finding a kind of melancholic beauty in the decimated elements of low-rise housing, they have quietly begun reassembling its fragments into new transformations, imbuing them with social qualities while still maintaining the efficiency of the original typology. Moreover, from a privileged view of a retrospective history, they are now able to critique and mine the recent and distant past, hybridizing tradition with contemporary concerns while finding inspiration in the palimpsest-like practices that are now being written on what was once a clean and modern city-scape.


Book and exhibition structure – organizing projects by the way basic elements of housing are transformed

 

For instance YounghanChung Architect in his ‘Five Trees’ project has taken the adhoc collision of urban layers inherited from Korean War refugee settlements in Busan and generated a scaled down micro-city that allows flexibility and change. JMY Architects in their ‘5×17 House’ similarly grows their sliver-like mixed-use rowhouse vertically out of the horizontal linear fabric impos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an effort to bring new life to the old city center. SoA in ‘The Rabbit’ takes the standard one-room multi-family type and somehow finds maximum dimensions that span through the entire length of the building, opening up linear spaces of collaboration. OBBA in ‘Beyond the Screen,’ also reimagines the multi-family typology but this time eliminating the corridor altogether allowing the insertion of a haptic vertical courtyard in the middle of a building type that typically denies any sort of amenity. SAAI Architects in the mixed-use ‘Uhjjuhdah House’ leverage the productive power of the incidental in curating and generating a new community of diverse tenants. Finally EMA in their ‘Mallee-dong Artist Housing’ engages the very process through which housing is created allowing design to be an instrument of communication before the building is even built.

Grappling with what these architects have accomplished is not an easy task. What the photographs and drawings may not show at first glance are the major revolutions happening at the minor scale. For this reason, ten keywords were curated to qualify the way in which the basic elements, shared across all housing, are transformed into a radical new language. Described more in detail in the table of contents, these syntactic modifiers [hybridity / sociality / individuality / polarity / code / process / relativity / unpredictability / subdivision / rescaling] act like viruses, attaching themselves to the basic elements and multiplying their influence. Instead of the polished continuity of a complete work therefore, this book acts partly like a user-manual and partly like scathing cultural critique for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Where individual projects are fascinating experiments in their own right, if one read between the lines they are also new inventions that challenge the norm and incite immediate change. Their fragments are powerful new typological tools that can be rescaled and redeployed to solve a wider set of problems beyond the site specific context of the work itself.

In understanding the above architects’ projects as inventions through transformation, it is helpful to close with a sideward glance at the ‘Fundamentals’ theme of the 2014 Venice Architecture Biennale (where the Korean Pavilion happened to take the first place Golden Lion Award). Curator Rem Koolhaas used the opportunity to dismantle architecture into its constituent parts, namely its elements. But as his colleague Peter Eisenman later critiqued, “Koolhaas doesn’t believe in grammar… For me what is purposefully missing is the grammatic.” Therefore where the work of the Venice Biennale was to productively dismantle, the work of this (albeit much smaller) exhibit is now to reassemble. And this is where the analogy of language becomes a salient working metaphor: To create a new kind of writing, we actually must confront the anxiety of understanding the disembodied fragment. Separated from its relationship to the overall, the fragment is no longer capable of participating in pre-existing aesthetic pursuits that seek the smoothness of overall control. And in this state, it can be willfully redesigned, recombined, and re-imbued with new qualities.

조각을 다시 맞추는 불안
홍존 | 교수, 서울대학교

(집[house]이 아닌) 주거(housing)는 연속적인 성질을 띨 수밖에 없으며 특히 우리의 도시 환경에 적용될 때 더욱 그렇다. 집합체가 성공적인지를 판단하지 않고서, 하나의 단위 주거가 성공적인지를 가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거는 하나의 언어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단어 자체도 동사와 명사로서 혼용할 수 있는 말이라 볼 수 있다. ‘주거’라는 명사로 쓰일 때는 평소에 흔히 말하듯, [일상생활이라는] 매일의 의식(ritual)을 위한 틀이자 공간을 의미한다. 한편, 동사로 쓰일 때, 이 말은 우리의 존재 방식을 변형하고 수정하는 행위를 의미하게 된다. 이번 전시와 책에 수록된 작업들은 이 지점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전시의 큐레이터이자 연세대학교 교수인 최문규 건축가가 서문에서 암시하였듯, 주거는 “이미 스펙터클로 가득한 도시”에서의 명사 ‘스펙터클’과 연관되기보다는 이 책의 작업들이 말하고자 하는 것처럼 “일상생활을 변화시킨다”는 의미의 동사 ‘변화하다’와 연결되어야 한다.


Opening speech by commissioner Jaeyoung Lim

 

스타 건축가들이 대중의 찬사를 받고, 특수목적의 건축물들이 출판물에 실리고 상을 받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서울에 지어지고 있는 건물들 중 77% 이상은 우리의 일상이 담길 주거 공간들이다.1 책 도입부의 에세이에서 박철수 교수는 이 역사에 관하여 자세히 서술하고 있다. 우리는 우리의 도시 안에서 아파트라 불리는, 거대한 성냥갑에 들어 있는 주거 단위들이 경이로울 정도로 반복해서 지어진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사람들의 수요에 따라 사회 · 정치적 압력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한국전쟁 이후 오랜 복구 기간 동안 독재적인 정부 주도의 정책들과 외국 자본의 투자, 그리고 규정하기 어렵지만 강력했던 범국가적인 열망이 하나가 되어 유례없는 건설 붐을 일으켰다. 1,300만 채의 주택이 전국적으로 지어졌고 서울의 인구만 무려 150만 명에서 1,000만 명으로 늘어났다.


photo: Seungho Choi

 

경제 성장과 급속도로 증가한 인구밀도의 관계를 논할 때 쓰는 놀랄 만한 숫자들 너머, 한때 ‘은자의 나라’라 불렸던 곳의 주거의 역사는 단지 특정 ‘지역’의 낮은 건물들이 ‘국제적’ 고층 건물들로 도시화된 수많은 서사들 중의 하나로 일반화시키기엔 좀 더 미묘하고 복잡하다. 한국은 한때 반도 국가라는 지정학적 이유로 외부와 단절되어 있던 상태였지만 외세의 영향으로 강제로 문호를 개방하게 된다. 역사가들은 이로 인한 사회적 통념의 급격한 변화과정이야말로 한국의 근현대사의 역사라고 이야기한다. 문호 개방은 1910년 일제의 식민지배와 함께 시작되었고, 한반도를 놓고 벌어진 미소 냉전 체제(1950~1953)를 거치며 문화적 식민지배는 계속해서 이어졌다. 그리고 이러한 격동의 시대 이후 세계 여러 나라와 교류하게 되면서, 한국인들은 드디어 자유롭고 자주적인 문화를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서구의 근대적 문화를 무비판적으로 선망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전통적인 도시 조직이 식민지 이후의 근대적 도시조직으로 변하는 과정 역시 위 현상의 일부였다. 나무와 돌로 지어진 한옥들이 파괴되고 철근과 콘크리트의 아파트 단지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된 것이다.


photo: Seungho Choi

 

그러나 미래를 위해 과거를 다시 고찰하는 지금, 한국의 도시경관을 이와 같이 이분법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이제 올바른 방법이 아닐지도 모른다. 중앙 정부의 감시하에 모든 것을 백지 상태로 만들어 버리는 이러한 도시계획 속에서, 더욱 변화에 민첩하고 유기적인 또 다른 역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미셸 드 세르토(Michel de Certeau)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시각이 지배하는 세계에서 벗어나면, 일상은 다른 모습으로 다가온다. […] 이상적인 도시를 꿈꾸는 담론들의 이면에는, 우리가 모르는 온갖 권력과 음모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들의 정체를 파악하고 논리적으로 분석할 수 없다면, 우리는 그들을 통제할 수 없다.”

아파트의 계획과 건설이 계속해서 중앙 정부에 의해 주도되어 온 반면, 보다 작은 규모의 주거의 경우 수요에 따른 임기응변이 축적되며 발전해 왔으며 오히려 관련 규제들이 이에 뒤따라 확립되고 시행되었다. 193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구가 도시에 집중되자 주택 소유주들이 집이 없는 공장 노동자들에게 불법으로 세를 주는 일이 빈번해졌다. 흥미롭게도, 도시형 한옥은 마당을 중심으로 방들이 배치되었기 때문에 공간을 다양하게 분할, 조정하고 함께 공유하기에 용이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한옥들이 여러 개의 화장실이나 부엌을 만들 수 없는 구조였기 때문에, 전혀 모르던 사람들이 함께 공간을 공유하는 새로운 ‘가족’관계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오늘날 우리가 혁신적이라 생각하는 사회적 현상들이 그 당시의 사회적 요구에 의해서 이미 80년 전 전통 주택 안에서 일어나고 있었던 것이다.

Society of Architecture (SoA)

 

고층 아파트 단지의 등장 이전에도 높아지는 도시 인구 밀도에 대응하기 위한 시도들은 존재해 왔다. 1960년대에 널리 확산된 2층 벽돌 주택은 목재 공급량이 줄어들고 화재에 대한 경각심이 증가하던 시대 상황에 따라 전통 한옥을 대신하는 주거 양식이 되었다.5 서구식 외관과 한국식 평면을 혼합해 놓은 이러한 건물들은 본래 한 가구를 위해 설계된 것이었지만 도심의 주택 부족이 계속해서 심화되자, 음지에서부터 꽤 기발한 방법으로 개조되기 시작했다. 과거에 사람들이 한옥들의 평면을 개조했다면, 이번에 개조한 것은 건물의 단면이었다. 이들은 주로 내부의 계단을 없애고 외부에 구색만 맞춘 어색한 모양의 계단을 새로 만들었는데, 그에 따라 1층과 지하에 사는 불법 세입자들과 2층에 사는 주인이 다른 출입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에도 이러한 주택들은 서울의 뒷골목에서 난잡하면서도 아름다운 그들만의 독특한 미학을 온몸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건물들은 밀도의 문제와 공간 개방의 문제 그리고 여러 세대의 공존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각각의 독창적인 시도들이다. 항상 적절한 ‘디자인’을 해내려 전전긍긍하는 건축가들이 생각해 낼 수 없는 해결책들인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이들로부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이들은 한국의 도시 문화라는 하나의 고유한 생태계 그 자체와 함께 변화해 온 산물들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계속해서 도시에서의 주택 공급난이 심해지자, 정부는 기존의 단독 주택지에 다가구 주택을 짓는 것을 허용했다. 이번에도 정부는 주택 소유자들의 이권 논리에 이끌려 간 것이었다. 허가 이후, 새로운 제도를 이용하여 가능한 많은 이익을 창출하고자 하는 영세 개발자들이 시장에 대거 등장하였다. 심지어 개발자들은 집합 주택들을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이득을 창출하는 데 최적화시켰고, 그 결과 ‘다가구’와 ‘다세대’ 주택 유형이 등장했다. 하지만 모두가 알고 있는 것처럼, 규제가 풀린 이 터무니없는 적자생존의 자본주의 시장에서 땅은 항상 더 큰 이윤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였다. 그 결과 주거 공간의 방, 복도, 입면, 공지, 지붕, 계단과 같은 요소들은 극단적으로 간소화되었고 어떠한 사회적 기능도 수행하지 못하게 되었다. 가장 단순한 상태로 환원된 것이다. ‘주거’라는 단어는 음절 단위로 분리되었고, 조각난 음절들은 다시 조립되지 못한 채로 남겨졌다.

그러나 건축가들이란 삐딱하게 생각하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다. 실패한 유토피아들을 경험하고서도,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지점에서부터 다시 사회적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거대한 규모의 아파트 단지들이 계속하여 위에서부터 아래로의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 책의 건축가들은 아래에서부터 더 정확히는 옆에서 비스듬하게 위로의 접근을 시도한다. 그들은 이미 무너져 버린 저층 주거의 요소들에서 일종의 음울한 매력을 느끼고는, 분해되어 버린 요소들을 다시 새롭게 조립하기 시작했다. 본래의 다세대, 다가구 주택이 가지고 있던 효율성을 유지하면서, 그 안에 사회적 가치들을 채워 넣고 있다. 더욱이 이제 그들은 역사를 성찰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이 특권을 통해 잡다하게 뒤섞인 과거의 것들을 현재의 관점에서 비평하고 유용한 것들을 발굴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한때 깨끗하고 근대적이었던 도시경관이라는 양피지 위에 그들의 생각을 쓰고, 지우고, 다시 써 보기를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Architects Office SAAI

 

예를 들어 정영한 아키텍츠는 ‘다섯 그루 나무’라는 작업에서 한국전쟁 당시 부산의 피난민들이 만들어 낸 도시 구조를 이용하고, 이를 통해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하나의 작은 도시를 만들어 낸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이엠와이 아키텍츠는 ‘대청동 협소주택 5×17’에서 구 도심에 활기를 불어넣고자 일제강점기에 구획된 세장형 필지에 맞춰 얇은 조각 같은 다용도 연립주택을 수직으로 쌓아올린다. SoA는 그들의 ‘토끼집’ 프로젝트에서 기존의 원룸 / 다가구 주택 유형을 수평으로 최대한 확장하여 숨어 있는 공간들을 찾아내고 이를 공동 스튜디오로 활용한다. OBBA는 ‘Beyond the Screen’을 통해 복도가 없는 다세대 주택을 제안한다. 대신 일반적으로 잘 활용하지 않는 건물 한가운데에, 촉각적인 수직정원을 만들어 이를 동선으로 이용한다. 건축사사무소 SAAI는 ‘어쩌다 집’에서 다양한 세입자들의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우연이 주는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엠에이 건축사사무소는 ‘만리동 예술인 협동조합형 주택’을 통해 주거를 설계하는 과정이 공동체를 위한 하나의 소통 방식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Younghan Chung Architects

 

이들이 성취해 오고 있는 일들은 결코 쉬운 것들이 아니다. 그림이나 사진 들은 이와 같이 작은 규모로 벌어지고 있는 중요한 변화들을 전부 보여 주지 못할지도 모른다. 이러한 이유로 10개의 키워드를 통해, 작품들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주거의 기본 요소들이 어떻게 급진적이고 새로운 언어로 변모해 가는지에 대한 이해를 도우려 한다. 목차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듯이, [혼성 / 사회성 / 개별성 / 양극성 / 규율 / 과정 / 관계 / 예측불가능성 / 세분화 / 조정]이라는 이 통사론적 수식어들은 기본적인 주거 요소들에 달라붙어 바이러스처럼 그들을 감염시키고 의미를 변화시킨다. 이 책은 완성된 작업들을 연속적으로 잘 정리해 놓은 책이라기보단, 독자 스스로 현재 상황에 대해 자신만의 문화적 비평을 시작할 수 있도록 이끄는 책이다. 작품들 하나하나가 모두 매력적인 실험들이지만 보다 넓은 행간에 주목한다면, 그것들이 규범에 대한 도전들이자 즉각적으로 변화시키려는 시도들이라는 것을 눈치챌 수 있다. 작품들의 한 부분 한 부분이 새롭고 강력한 유형학적 도구이다. 이 도구들은 자신들의 장소 특정적인 맥락을 넘어서 더 넓은 범위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조정되고, 새롭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건축가들의 작업을 변형을 통해 어떤 것을 발명하려는 여러 시도라 본다면, 글의 마무리로 (한국관이 그들의 첫 번째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2014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의 주제였던 ‘Fundamentals(기본, 본질)’을 살펴보는 것 역시 의미가 있을 것이다. 큐레이터를 맡았던 렘 콜하스(Rem Koolhaas)는 비엔날레를 통해 건축을 그것의 구성 요소들로 해체하고자 했다. 그러나 후에 그의 동료인 피터 아이젠먼(Peter Eisenman) 이에 관하여 “콜하스는 문법을 믿지 않습니다. […] 제게는 문법이 의도적으로 삭제된 것처럼 느껴집니다.”6라고 비평하였다.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가 건축을 그 요소들로 해체하기 위한 자리였다면, 이 전시는 이들을 다시 조립하기 위한 자리이다. 이제 우리가 이를 언어에 비유한 사실이 더욱 중요해진다. 새로운 글을 쓸 때 우리는 먼저 단어들을 바라보며 안절부절못할 수밖에 없다. 단어가 어떻게 적절히 사용될지 아직 모르기 때문이다. 전체적인 맥락에서 벗어나 버린 단어들은 글의 통일성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하지만 이 상태에서 비로소 단어들은 문장의 구속으로부터 해방되어 다시 만들어지고, 다르게 조합될 수 있으며, 마침내 새로운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번역: 이영주)


Book Author and Symposium Coordinator
John Hong AIA, LEED AP

Curator
Moongyu Choi

Advisor
Jaeyong Lim, Sunghong Kim

Architectural Works by
Architects Office SAAI,  EMA architects & associates,  SoA (Society of Architecture),  JMY architects, OBBA (Office for Beyond Boundaries Architecture), YounghanChung Architects

Essays
Cheolsoo Park, John Hong

Photographic Essay
Seungho Choi

Editorial Team
Project :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Hyein Kim, Hyun Jei Lee (project coordination),  Hyelim Jang, Tae Hwan Choi, Youngju Lee (translations)

Translators
Jung Yoon Chin, Young Ju Lee

Coordinator
Yoojin Jeon

Exhibition Design
SoA (Society of Architecture)

Graphic Design
Eunjoo Hong, Hyungjae Kim (Optical Race)

Organizer
Korea Architects Institute

Official Hos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public of Korea

Official Sponsor
Arts Council Korea

Partner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Department of Architecture, School of Design and Environment

Sponsors
FILOBE System Window Co., Ltd., Jarchiv, NShome Co., Ltd., OCA, Pyung Hwa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Co., Ltd.